- 미니 퀴즈 2-1 -
1.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디렉터리 구조에서 이미지와 같은 리소스를 저장하는 디렉터리의 이름은 무엇인가요?
답 : res 디렉터리 (정확하게는 보통 res/drawble/ 디렉터리에 저장)
2. 내가 만드는 앱의 빌드 정보가 들어 있는 파일 이름은 무엇인가요?
답 : Gradle Scripts
3. 에뮬레이터의 속도를 빠르게 해주는 하드웨어 가속기의 이름은 무엇인가요?
답 : Intel x86 Emulator Accelerator(HAXM installer)
[여기서 잠깐]
>> setContentView()메소드 의미
super.onCreate(savedInstanceState)
setContentView(R.layout.activity_main)
setContentView(*.xml 파일) | /res/layout 디렉터리 아래에 있는 activity_main.xml 파일을 화면에 그려줍니다. |
>> 주석의 의미
한줄주석 | // 주석 처리활 문자열 |
여러줄 주석 | /* 여러 중레 걸치 주석 문자열을 처리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*/ |
Javadoc 도구를 사용한 자동 문서화 | /** 여기에 내용 **/ |
>> 깃허브에서 다운받은 소스(프로젝트) 사용하기
[File - Open]을 열어서 자신이 열고싶은 프로젝트를 열으신 후 [Settings]-[Version Control]의 VCS를 Git에서 <none>으로 수정한 다음 실행하면 됩니다.
해당 thiskotlin디렉터리를 전체 선택하면 안되고 하위 프로젝트를 개별적으로 선택해서 열으셔야 합니다.
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하나당 1개의 깃 프로젝트를 생성하는데
해당 디렉터리가 여러 개의 안드로이드 프로젝트를 하나의 깃 프로젝트에 묶어 놓았기 때문입니다. :)
이상 마치겠습니다 :)
'책 요약하기 > 이것이 안드로이드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5-2. 컨테이너 2021-03-12 (0) | 2021.03.12 |
---|---|
#5-1. 화면 구성하기 2021-03-12 (0) | 2021.03.12 |
#4. 위젯과 리소스 다루기 2021-03-06 (0) | 2021.03.06 |
#3. 코틀린 사용을 위한 기본 문법 2021-03-04 (0) | 2021.03.04 |
#0. Preview (0) | 2021.02.28 |